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필리핀 중고 가전 수출, 이렇게 준비하세요!

by TODAY CEBU 2025. 6. 18.

필리핀 중고 가전 수출, 이렇게 준비하세요! 실전 전략 공개

중고 가전제품, 그냥 버리기엔 아깝고 팔기도 애매하셨나요? 필리핀 중고 수출이 요즘 핫한 이유가 여기에 있어요. 전자제품 수요는 꾸준한데, 새 제품은 비싸고 물류는 부족한 그곳. 바로 필리핀입니다. 그런데, 무작정 보내면 낭패 보는 건 순식간이에요. HS 코드, 통관 기준, 전압 문제, 포장 방식까지 하나하나 신경 써야 하거든요. 저도 처음엔 부딪히면서 배웠지만, 지금은 꽤 안정적인 루트를 만들었어요. 이 글에서는 그 노하우를 풀어보겠습니다.

HS코드 분류와 세관 등록 요령

중고 가전을 수출할 땐 가장 먼저 HS 코드 분류부터 정확히 해야 해요. 가전제품마다 코드가 다르고, 신제품과 중고품은 세율도 달라지거든요. 예를 들어 중고 세탁기는 8450.20 코드, 중고 냉장고는 8418.10 코드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아요. 코드 분류가 잘못되면 필리핀 세관에서 통관 지연이나 과징금이 발생할 수 있어요.

수출 전에 KTC(한국무역정보센터)나 관세청 홈페이지에서 품목분류 사전심사를 받는 것도 추천드려요. 필리핀 수입자 등록 시에도 정확한 품목명이 필요하니, 서류상 통일성 유지가 중요합니다.

중고 가전 수출 가능 품목 리스트

품목 비고
세탁기전기테스트 및 물세척 필수
냉장고냉매 제거 여부 확인
TV (LCD/LED)파손여부 사진 첨부 권장
전자레인지전자파 차단 기준 확인 필요
선풍기/청소기모터 회전 테스트 필수

그 외에도 정수기, 믹서기, 밥솥 등 생활 가전도 수출 가능하지만, 필리핀 기준에 맞는 제품 검사 인증서를 함께 첨부하는 것이 유리해요.

전압·플러그 호환 및 검사 기준

  • 필리핀 전압: 220V, 주파수: 60Hz (한국과 유사)
  • 플러그 타입: A형, B형 → C형 변환 어댑터 필요
  • 안전 기준: PSE 인증 혹은 안전시험 성적서 첨부 권장
  • 전원 작동 여부 영상 첨부 시 통관 속도 향상

대부분의 가전제품은 전압 호환 문제는 없지만, 플러그 모양이 달라 단자 교체나 어댑터 동봉이 필수예요. 특히 세관에서 작동 영상이나 인증 스티커 유무로 기능 상태를 판단하므로, 미리 준비해두면 좋습니다.

고장 리스크 대비 포장법

중고 가전은 새 제품보다 충격에 약해요. 포장 상태가 조금만 허술해도 세관 통과 전 파손될 수 있죠. 그래서 저는 항상 2중 포장 + 에어캡 + 충전재 조합으로 작업해요. 특히 유리나 전면부 LCD 화면이 있는 제품은 각진 모서리를 고정하는 게 포인트예요.

또 외부에는 'USED ELECTRONIC EQUIPMENT - FRAGILE'이라고 크게 표기하고, 플라스틱 팔레트 위에 고정하면 하역 과정에서의 충격도 줄일 수 있어요. 현지 도착까지 충격 최소화가 생명입니다.

중고 전자제품 수입 통관 규정

항목 요건
전자제품 수입환경부 허가 필요
중고 품목 표시'USED' 스티커 부착 필수
포장 상태외부라벨 명확히 표시
검사 절차작동 여부 확인, X-ray 검사 가능

필리핀 정부는 전자 폐기물 유입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어요. 사용 가능 여부가 불분명한 제품은 입항 자체가 거절될 수도 있어요. 그래서 수출 시 ‘USED’ 명시, 작동 인증서, 제품 상태 설명서 등 서류 작업이 꼭 필요하죠.

필리핀 바이어가 선호하는 조건

  • 작동 영상 링크 제공
  • 제품 겉면 청소 및 라벨 부착
  • 한 대씩 포장된 상태
  • 전압, 사용 연식 표기
  • 도착지 항구 DDU 조건 선호

현지 바이어는 실사용 가능한 깔끔한 상태의 중고품을 가장 선호해요. 외관이 깨끗하고, 케이블이나 리모컨이 함께 동봉되면 가격이 확 올라가죠. 특히 'DDU 조건'(관세 제외 배송)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이 조건을 맞춰 제안하면 협상이 쉬워집니다.

Q&A

Q1) 중고 가전도 필리핀에서 합법적으로 수입이 가능한가요?
A1) 네, 가능하지만 '사용 가능 상태 증명'과 'USED' 라벨 부착 등 필수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일부 품목은 허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Q2) 고장난 중고 가전도 수출할 수 있나요?
A2) 고장난 제품은 전자폐기물로 분류될 수 있어 수출이 거절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작동 테스트를 거친 제품만 추천드립니다.
Q3) HS코드는 필리핀과 한국이 동일한가요?
A3) 기본 구조는 동일하나 해석이나 분류 기준은 다를 수 있어, 수입자 측과 사전 조율이 필요합니다.
Q4) 플러그나 전압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A4) 전압은 대체로 호환되며, 플러그는 A형·B형을 주로 사용하므로 C형 변환 어댑터를 동봉하면 문제 없습니다.
Q5) 바이어와 거래할 때 어떤 조건이 유리한가요?
A5) DDU 조건(운송+도착지까지 배송, 세금 별도)이나 현지 창고 인도 조건이 선호됩니다. 작동 영상이나 세척 상태도 신뢰에 큰 영향을 줍니다.

마치며

중고 가전 수출, 특히 필리핀 시장을 겨냥한다면 생각보다 많은 준비가 필요해요. HS 코드, 작동 여부, 포장, 통관 규정까지 하나라도 빠뜨리면 문제가 생길 수 있거든요. 하지만 제대로만 준비한다면, 이 시장은 아직도 무한한 가능성을 품고 있어요. 저도 처음에는 시행착오가 많았지만, 지금은 꾸준한 거래처도 생기고 바이어들의 요청이 늘고 있어요.

중고지만 '신뢰'를 담아 보내면, 가전 한 대가 누군가에겐 생활의 질을 높여주는 귀한 물건이 되죠. 지금 준비 중이시라면, 이 글을 기반으로 하나씩 체크해보세요. 포장부터 바이어 조건까지 꼼꼼히 준비하면 실패할 일은 없답니다. 여러분의 수출 비즈니스, 꼭 성공하시길 응원할게요!

관련 키워드: 중고 가전 수출, 필리핀 중고 전자제품, 필리핀 수출 통관, HS코드 분류, 전압 호환, 가전 포장법, 중고 통관 규정, 전자제품 수입 조건, 중고TV 수출, 필리핀 바이어 조건